Python 썸네일형 리스트형 [Python] eval 함수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데이터프레임 파일을 to_csv 로 다운을 받고 read_csv 로 불러오는 상황이었다. csv파일로 다운을 받게되면 모든 리스트나 딕셔너리 형태의 데이터들이 str로 바뀌어 난감한 상황이 발생되었다. 여러가지 방법들을 생각해 보았지만 너무 비효율적인 것 같았다. 그래서 구글링을 해보았더니 아주 간단한 방법을 발견했다. eval() 이라는 함수를 사용하면 str형태로 변한 리스트나 딕셔너리를 다시 원래의 형태로 바꿔준다. 처음에는 이런 형태를 바꿔주는 함수로만 알고 있었지만 어떨때 사용하는지 궁금해져 찾아보니 문자열 형태로 되어있는 식을 계산해주는 함수였다. 예를들어 eval('1+2') 를 하면 3이 출력되게 해준다. 내가 적용시킨 사례 더보기 [DL]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활성화 함수 개념] 활성화 함수는 순전파와 역전파 과정중에 입력층을 통해 들어온 값을 가중치, 편향과 함께 연산해주는 함수입니다. 활성화 함수는 은닉층과 출력층을 따로 설정해주는 경우가 많으며 데이터의 종류마다 다른 활성화 함수를 설정해줍니다. [활성화 함수 사용 이유] 활성화 함수는 선형분류기 문제(XOR)를 해결하기 위해 나왔습니다. 선형시스템인 layer를 여러겹 쌓는다 하더라도 결국은 하나의 layer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깊은 layer를 쌓을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선형 활성화 함수가 나와 이를 활용하여 선형시스템을 비선형시스템으로 바꿀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활성화 함수의 종류] 이진 활성화 함수 - 다중 출력이 불가능 선형 활성화 함수 - 역전파가 불가능, .. 더보기 [DL] 순전파와 역전파 [순전파와 역전파의 개념] 순전파와 역전파는 최적의 가중치와 편향을 찾기위한 과정입니다. 순전파는 입력층 -> 은닉층 -> 출력층 방향이며 진행과정중에 정해진 가중치와 편향을 예측값과 연산합니다. 역전파는 출력층 -> 은닉층 -> 입력층 방향이며 손실함수를 통해 나온 오차값을 줄이기 위한 과정으로 가중치와 편향을 오차값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업데이트를 해줍니다. 후에 다시 순전파를 통해 오차감소를 확인합니다. [순전파] 순전파에서는 정해진 가중치와 편향을 예측값과 연산을 하는 과정으로 연산된 값을 출력층에서 출력합니다. [역전파] 역전파에서는 순전파를 통해 나온 오차값을 줄여주기 위해 가중치와 편향을 업데이트 해줍니다. 이때 역전파 과정에서는 미분을 하여 연산을 합니다. 더보기 [DL] 딥러닝 기초 딥러닝은 사람의 신경망 구조를 따라 만든 모델로 기계가 학습을 하는 머신러닝 기법입니다. 이 인공 신경망은 퍼셉트론이라고 불리우며 기계가 다층 구조를 통해 스스로 학습을 하도록 합니다. 초기의 딥러닝은 ANN(Artficial Neural Network)으로 불리었으며 이는 입력층-은닉층-출력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여 은닉층을 여러겹으로 쌓으면서 DNN(Deep Neural Network)라고 불리우며 매우 높은 시간복잡도라는 단점을 GPU로 학습 속도를 향상시켜 극복하였습니다. DNN 응용 알고리즘으로는 CNN, RNN, LSTM 등이 있으며 CNN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자주 사용되고 RNN은 시계열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등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 더보기 [Python] 프로그래머스 - 올바른 괄호 [올바른 괄호] 📑 문제 📝 풀이 나의 풀이 def solution(s): l = 0 if s[0] == '(' and s[-1] == ')': for i in s: if i == '(': l += 1 else: l -= 1 if l < 0: return False if l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else: return False 스택과 큐를 활용한 풀이 def solution(s): stack = [] for i in range(len(s)): if s[i] == '(': stack.append('(') else: if len(stack) == 0: return False else: stack.pop() if len(stack) == 0: return True.. 더보기 [Python] 프로그래머스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 문제 📝 풀이 def solution(price, money, count): m = 0# 총 이용 금액 for i in range(count): m += price * (i+1) if m > money: return m - money else: return 0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