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멋사 AI SCHOOL에서

[AI SCHOOL] Final_Project (주제: 도서 추천 시스템 만들기) 기간: 22년 12월 22일 ~ 23년 1월 5일 12월 22일 전 팀원들과 주제를 정하고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지를 정했다. 그리고 추천시스템 분야는 우리가 수업시간에 깊게 다루지 못하여 많은 공부가 필요했고 각자 공부를 해오는 시간을 가졌었다. 12월 22일 ~ 1월 4일 프로젝트 목표 처음에는 사용자가 성별, 나이, 키워드 등의 세부적인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도서들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구상하였다. 하지만 부족했던 데이터들로 인해 우리가 목표로 했던 결과에서 조금 타협을 보고 키워드 기반의 도서를 추천해주는 것을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로 정했다. 데이터 수집 처음에는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https://www.bigdata-culture.kr/bigdata/user/main.do) 이라는 공공 데.. 더보기
[AI SCHOOL] Mini_Project_6 : CNN 이미지 분류 https://www.kaggle.com/datasets/vishalsubbiah/pokemon-images-and-types Pokemon Image Dataset Pokemon image dataset www.kaggle.com 데이터 소개 이번 mini project는 캐글의 포켓몬 이미지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CNN을 활용한 이미지 분류를 진행하였다. 미니프로젝트 진행은 코렙에서 실행하였다. 포켓몬 이미지 데이터셋에서 주어진 데이터들은 포켓몬 이미지들과 각각의 포켓몬들의 타입들이 들어있는 csv 파일 하나가 들어있었다. 이 CNN을 활용해 이 포켓몬들의 이미지를 보고 type을 구분하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이다. 이미지 로드하기 코렙의 특성상 데이터를 바로 끌어다 쓰면 재실행 할때마다 계속 불.. 더보기
[AI SCHOOL] Mini_Project_3 (주제: 신용카드 사용자 연체 예측) 1. 주제 선정 새로운 팀원들과 함께 머신러닝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이번 미니프로젝트는 캐글이나 데이콘에서 주제 하나를 선정하여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들을 활용하여 제출해보기였다. 우리는 데이콘에서 신용카드 사기 거래 탐지를 주제로 잡아 머신러닝을 시도하려고 했다. 하지만 비지도학습을 활용해야하는 주제였기에 우리는 배운 범위 안에서 주제를 정해보자라는 의견이 나와 신용카드 사용자 연체 예측을 주제로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2. 진행 과정 먼저 나는 최대한 데이터 분석 과정 틀 안에서 순차적으로 밟아 나가보자 라는 생각으로 시작하였다. 첫번째로 문제에 대해 이해하려 하였고 데이터를 하나하나 뜯어보고자 하였다. 2-1. 문제 이해하기 이 주제는 신용카드 사용자 연체 예측으로 신용카드 사용자의 데.. 더보기
[AI SCHOOL] Mid Project (19일 ~23일) 길었던 미드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아직 발표가 남았지만 작업물 제출까지 했으니 끝이라고 하자.. ㅎㅎ 제대로 데이터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간은 19일부터 였지만 그 주제를 제안하고 정하고 수정하기까지도 포함하면 일주일이라는 시간이다. 많이 힘들고 피곤했지만 만족할만한 결과물이 나와 너무 뿌듯했고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미드 프로젝트에 대한 얘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너무 열심히 해준 팀원들에게도 고마웠다. 누구하나 빼는 사람 없이 하기 싫다는 사람 없이 다 열심히 해주었다. 혼자였으면 절대로 못했을 것이다. 중간에 포기도 하고싶었지만 다들 열심히 해준 덕분에 같이 잘 따라갈 수 있었다. 그리고 멘토님들의 피드백과 도움 덕분에 더 완성도 있는 결과물이 나왔다고 생각한다. 열심히 알려주셔서 감사하다. 주제 .. 더보기
[AI SCHOOL] Mini_Project_2 (주제: 서울시 편의점 데이터 분석) 1. 주제 선정 이번 두번째 미니프로젝트는 EDA 활용을 중점으로 한 프로젝트이다. 주제를 골라 지금까지 배웠던 EDA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다. 저번이랑 동일하게 팀원분들 각자 주제 하나씩 선정하여 가져와 투표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그렇게 선정된 주제는 '서울시 편의점 데이터 분석'이다. 주제의 목적은 서울시에 있는 편의점들의 데이터를 가져와 자치구별로 편의점 데이터를 분석하여 편의점의 갯수가 인구수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찾는 것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각자 자치구 5개씩 나눠 맡아 데이터 분석을 하기로 했다. 2. 진행과정 2-1. 데이터 수집 과정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6095/S/1/datasetView.do 서울 열린 데이터광장에서 편의.. 더보기
[AI SCHOOL] Mini_Project_1 (주제:국내 프랜차이즈 카페 전국 매장 정보) 1. 주제 선정 멋쟁이 사자처럼 AI SCHOOL에서 진행한 첫 미니 프로젝트이다. 새로운 팀원들과 진행하는 첫 미니프로젝트이다. 미니프로젝트는 미드프로젝트나 파이널프로젝트와는 달리 따로 인사이트까지 도출하지는 않고 주제를 선정하여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들을 사용해보는 간단한 프로젝트이다. 그래도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들을 다른 곳에 스스로 적용시켜서 사용해볼 생각에 설랬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팀원들끼리 의견을 공유하고 투표하여 선택한 주제는 '전국 프렌차이즈 카페 매장 찾기' 였다. 이 주제의 목표는 프렌차이즈 매장들의 리스트를 뽑아 팀원들끼리 각자 하나의 카페를 선택하여 그 카페의 전국 매장 위치를 찾고 모든 데이터들을 합쳐보는 것이다. 나는 '메가커피'를 선택했고 메가커피의 전국 매장의 위치를 찾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