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9장 9장. 애플리케이션 만들기9-1. 애플리케이션 설명1장~8장까지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든다. 'OX 퀴즈' 애플리케이션은 제출된 퀴즈에 대해서 O 혹은 X로 대답하는 퀴즈이다. 이번 장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준비로 기능 설명과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9-1-1. 기능 목록작성할 기능 목록No기능설명1.등록 기능퀴즈를 등록합니다.2.갱신 기능등록된 퀴즈를 갱신합니다.3.삭제 기능등록된 퀴즈를 삭제합니다.4.목록 표시 기능등록된 퀴즈의 목록을 표시합니다.5.게임 기능퀴즈 게임을 실시합니다. URL 목록No역할HTTP 메서드URL1.퀴즈 목록을 표시합니다.GET/quiz2.등록 처리를 실행합니다.POST/quiz/insert3.갱신 화면을 표시합니다.GET/quiz.. 더보기
[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8장 8장. 유효성 검사 기능 알아보기 8-1. 유효성 검사의 종류8-1-1. 유효성 검사란?입력 내용이 요건에 만족하는지 그 타당성을 확인하는 입력 체크단일 항목 검사상관 항목 검사(서로 관련이 있는 항목을 함께 체크하는 방법) 8-1-2. 단일 항목 검사란?입력 항목 하나에 대해 설정하는 입력 체크 기능으로 Form 클래스 등의 필드에 어노테이션을 부여하여 사용한다. 이 책에서는 Java EE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만 이번 스프링 3.x로 넘어오면서 Jakarta EE를 사용하게 된다. 어노테이션기능 설명사용 예@NotNullnull값이 아닌 것을 검증@NotNullInteger no;@NotEmpty문자열이 null 혹은 공백문자("")가 아닌 것을 검증@NotEmptyString name;@.. 더보기
[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7장 7장. 요청 파라미터 취득하기 7-1. 요청 파라미터의 종류이전 장에서는 서버에서 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이번 장에서는 뷰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고 컨트롤러가 받는 방법을 배워본다. 요청 파라미터를 통해 취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방법내용@RequestParam사용@RequestParam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파라미터를 하나씩 취득Form 클래스 사용(Form 클래스는 따로 만들어야 함)스프링 MVC가 Form클래스 내의 필드에 대해 값을 저장합니다. 요청 파라미터를 모아서 하나의 객체로 받아들이기 떄문에 자주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받을 때는 '형변환'이나 '포맷 지정'이 가능합니다. 7-2. 입력값을 받는 프로그램 만들기(@RequestParam)@Controlle.. 더보기
[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6장 6장. 템플릿 엔진 알아보기 6-1. 템플릿 엔진의 개요6-1-1. 템플릿 엔진이란?템플릿 엔진을 설명하기에 앞서 뷰(View)라는 개념을 정확히 알아야한다. 뷰는 사용자에게 보여줄 내용을 처리 결과 데이터를 가지고 HTML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즉,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템플릿에 바인딩해서 뷰의 표시를 도와주는 것이다. 6-1-2. 타임리프란?HTML 기반의 템플릿 엔진으로, 정해진 문법으로 작성하면 페이지를 동적으로 조립해준다.HTML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최종 출력을 생각하면서 뷰를 만들 수 있다.타임리프는 Java spring과 통합되어 있어, 스프링의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해준다. 그래서 spring에서는 타임리프 사용을 권장하며 이 책에서.. 더보기
[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5장 5장. MVC 모델 알아보기 5-1. MVC 모델 알아보기5-1-1. MVC 모델이란?MVC 모델이란 프로그램의 처리 역할을 나누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으로 웹 시스템 개발에 자주 사용되며 아래 단어들로 분류되어 진다.M:Model(모델)모델은 시스템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한다.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식, 시스템의 목적을 처리하는 부분이다.V: View(뷰)뷰는 사용자 입력과 결과 출력 등 시스템에서 표현 부분을 담당하며 웹에선 주로 화면을 담당한다.C: Controller(컨트롤러)모델과 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뷰에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받으면 이것을 모델에 전달하는 역할이다. 역으로도 가능한다.5-1-2. MVC 모델의 개요와 이점역할 분담을 통해 효율적인 개발 가능개발하는 엔지니어의.. 더보기
[도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첫걸음 4장 4장. 데이터베이스 작업스프링 데이터 프로젝트 중 하나인 스프링 데이터 JDBC(Spring Data JDBC)를 사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 데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4-1. 데이터베이스 생성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며 데이터베이스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가 있으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표 형식으로 표현하고 여러 표에서 항목의 값 사이에 관계를 맺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뜻한다. 줄여서 RDB라고 부른다. 4-2. 테이블 생성테이블은 데이터를 항목으로 해서 이차원 표 형식으로 정리해서 저장하며 아래의 그림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테이블의 가로는 행(row)을 레코드(record).. 더보기